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MBA
- pyverilog 설치 오류
- systolic array
- pytest-pythonpath 설치 오류
- CUDA
- Pyvrilog tutorial
- makefile
- 딥러닝 가속기
- 클럭 게이팅
- 이진수 곱셈 알고리즘
- Makefile compile
- linux c++ 컴파일
- CLOCK GATING
- DNN 가속기
- 남산업힐
- Pyverilog 설치
- Design DNN Accelerator
- DNN Accelerator
- gpgpu-sim
- Data HAzard
- 대구 반도체 설계기업 특화
- linux makefile 작성
- 컨벌루션 연산
- CDC
- pygraphviz 설치 오류
- Pyverilog 실행
- gcc 컴파일
- Pyverilog 튜토리얼
- 데이터 해저드
- linux c 컴파일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27)
오늘은 맑음
기존에 올렸던 글에서는 모두 adder tree를 가지는 구조였습니다. 간략하게 그리면 위의 구조였습니다. A(activation)과 W(weight)가 하나씩 입력 되면, 연산기에서 서로 곱해줍니다. 만약 5x5 컨벌루션이라고 하면 뉴런(파란 동그라미)가 25개 있겠죠? 그러면 아래처럼 2인 1조로 더해주는 동작을 반복해 최종 출력이 1개가 되게끔 만들어 줍니다. 아래의 덧셈 과정을 adder tree 구조라고 합니다. 여기에 곱셈과 덧셈 과정이 있는데, quantization의 경우 곱셈기와 덧셈기의 크기를 줄여서 필요한 하드웨어 자원의 크기를 줄이려는 알고리즘이죠. 일로 인해 잠시 멈췄던 NPU 공부를 다시 해볼까 합니다. 기존의 구조가 아닌 Eyeriss나 TPU와 같이 많은 논문에서 사용하는 s..
올 해 2월 말에 기존에 타던 자전거들은 처분 하고 자이언트 TCR Advanced 2를 새로 출고했습니다 색상은 매트블랙이고 Giant 데칼에만 펄이 들어가있습니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처음 타보는데 제동력이 좋아서 손에 힘이 덜 들어가서 좋더라구요. 처음 출고했을 때는 오이도를 다녀왔는데 스포크에서 소리가 엄청 많이 나서 불안했는데... 지금은 조금 더 타다보니까 소리가 안나더라구요. 물어보니까 처음에는 자리를 잡으면서 소리가 날 수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오늘은 역곡천-목감천-안양천을 타고 한강 합수부까지만 다녀왔습니다. 주말에 비가 와서 벚꽃은 거의 다 떨어졌지만 안양천에 튤립이 많이 폈더라구요. 오늘 오후까지 비가 온다고 했는데 다행히 오전에 그쳤더라구요. 하지만 덕분에 자전거에 흙탕물이 많이 튀었..
이번에는 makefile을 실제로 작성 해보겠습니다. 먼저 linux환경이 필요한데, linux환경 없이 window만 사용하신 분은 본 블로그의 wsl 설치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pwd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해줍니다. Makefile src(directory) bin(directory) src에는 main함수를 포함한 다양한 source 파일들이 들어있고, bin에는 만들어진 실행파일이 들어갑니다. src 폴더에는 현재 hello를 출력하는 main.c와 world를 출력하는 world.c, world.h파일 총 세개가 있습니다. 작성된 makefile은 아래와 같습니다. CC := gcc (c파일을 컴파일 한다면 gcc, c++을 컴파일 한다면 g++ 컴파일러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CFLAG..
이전 makefile 포스팅에서는 직접 명령어를 넣는 방법보다는 덜 지저분한 방법으로 컴파일 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접 명령어를 넣는 방법보다는 제공하는 매크로를 활용해 조금 덜 지저분한 방법으로 컴파일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makefile은 처음 작성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면 이미 작성되어 배포되며, 타인이 작성한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하지만 언젠간 작업을 하다보면 makefile을 작성해야 할 때도 생기고, 혹은 수정해야 할 일이 생깁니다. 하지만 makefile에 대해 이해도가 없다면 작성하지도, 수정하지도 못하겠죠? 따라서 이번 포스팅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타인의 makefile을 사용하더라도 알고 사용하자. 2. makefile을 작..
WRITE ADDRESS CHANNEL SIGNALS --MASTER-- AWID : write address id AWADDR : write address AWLEN : Burst lentgh ex) AXI3 : AWLEN[3:0](1 to 16) AXI4 : AWLEN[7:0] (1 to 256) AWSIZE : BURST SIZE ex) AWSIZE[2:0] Bytes in transfer. if AWSIZE = 0b001, 2 bytes in transfer AWLOCK : Lock type, atomic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er AWCACHE : Memory type AWPROT : Protection type AWQOS : Quality of Service AW..
window에는 winmerge와 같이 다양한 코드/텍스트 파일을 비교하는 프로그램들이 많습니다. 최근 linux를 많이 사용하면서 이런게 없으니까 많이 불편하더라구요... linux는 역시 좋은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습니다. vimdiff와 gvim이 있다면 gvimdiff를 사용하면 됩니다. 저는 vim이 익숙해서 vimdiff로 주로 사용하지만 gui가 좋으신 분들은 gvimdiff를 추천합니다. 명령어 : (g)vimdiff PATH1 PATH2 추가) 2021-04-23 gvimdiff가 불편하신 분들은 meld를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meld PATH1 PATH2 GUI로 정말 편하게 되고 코드 삽입도 마우스 클릭으로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