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컨벌루션 연산
- 대구 반도체 설계기업 특화
- linux c++ 컴파일
- DNN 가속기
- 클럭 게이팅
- pytest-pythonpath 설치 오류
- makefile
- linux makefile 작성
- pyverilog 설치 오류
- 남산업힐
- DNN Accelerator
- Pyverilog 튜토리얼
- 데이터 해저드
- 이진수 곱셈 알고리즘
- AMBA
- 딥러닝 가속기
- CDC
- Makefile compile
- Pyverilog 설치
- Pyvrilog tutorial
- Design DNN Accelerator
- gpgpu-sim
- Pyverilog 실행
- Data HAzard
- systolic array
- CLOCK GATING
- gcc 컴파일
- pygraphviz 설치 오류
- linux c 컴파일
- CUDA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27)
오늘은 맑음
윈도우 10에서는 ctrl + shift + s를 누르면 지정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게 커서의 모양이 바뀌고 캡쳐하게 되면 클립보드로 복사됩니다. linux에서는 어떻게 할까요? 전체 화면 캡쳐 활성화된 창 캡쳐 지정된 영역 캡쳐 png파일로 저장 PrtSc(print screen) Alt + PrtSc Shift + PrtSc 클립보드로 복사 Ctrl + PrtSc Ctrl + Alt + PrtSc Ctrl + Shift + PrtSc 다음의 단축키로 편리하게 화면을 캡쳐할 수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blzt/btqzv6Fq3fr/jrBu7z9RCL6ZQ6929nC6ak/img.png)
window에서는 visual studio에서 cuda를 설치하여 사용했습니다.이번에는 linux에서 cuda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저는 GPGPU-Sim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테스트 하려다 보니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소스코드 작성은 window와 같습니다.다른점이라고 하면 컴파일할 때 gcc나 g++이 아닌 nvcc를 사용한다는 점이 있겠습니다. vector add연산을 수행하는 example.cu라는 application을 작성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이제 먼저 작성한 프로그램을 compile 하겠습니다.이 때 compile을 쉽게 하기 위해 makefile을 작성하겠습니다.gcc나 g++처럼 makefile을 작성하시면 되지만 이때 nvcc로 compile해야하기 때문에 설치된 nvcc의 p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1YZI/btqztswMrEr/1ZJL9Pb0mj5UjrkpgHbUK0/img.png)
보통 gui가 있는 linux를 사용할 때는 gedit을 많이 사용하시는데 gui가 없는 환경에서 또는 gui가 있어도 vim을 잘 활용하시면 작업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gedit을 사용하게 되면 마우스로 손이 많이 가게 되는데 vim을 사용하면 키보드에서만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작업속도를 빠르게 하는 방법 중 하나인 vim 에디터에서 화면 분할하기를 해보겠습니다. vim에서 화면을 분할하는 방법으로는 1. 상하 2. 좌우가 있습니다. 화면을 분할하는 이유로는 저는 어떠한 코드를 작업중인데 다른 코드의 내용을 참조하고 싶을 때 주로 사용했습니다. gedit을 사용하면 왼쪽에 에디터를 하나 켜놓고 다른 코드를 우측으로 끌어 분할하여 배치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 기능을 잘 사용하..
esc 누른 상태에서 상하분할 :sp (열고자 하는 소스의 주소) 좌우분할 :wd (열고자 하는 소스의 주소 ctrl + w 를 누른 상태에서 화살표를 이용해 소스를 왔다갔다 할 수 있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CoVf/btqvWSFCdDT/6vJOMY8WXnBeKTcOxF5fv0/img.png)
Altera DE1-SOC보드에서 주파수 분주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DE1-SOC보드의 기본 동작주파수는 50MHz이며 1초에 1번 LED가 켜졌다가 꺼지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분주기의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Hz로 동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0.5초에 한번씩 o_clk을 토글해줍니다. 따라서 1초에 한번씩 posedge와 negedge가 생성됩니다. prescaler를 top_module에 instance해주고 i_clk에 CLK을, top의 출력으로는 LED의 pin번호를 매핑해주면 1초에 한번씩 LED가 켜졌다가 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더 다양하게 주파수를 분주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으로 분주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거지 실제로 사용하게 되면 타이밍 오..
write-through cache CPU에서 연산된 값에 의해 cache의 워드에 변화가 있을 때 main memory에도 함께 write해주는 정책, 항상 cache가 main memory와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write-back cache cache 블록이 교체 정책(replacement policy)에 의해 교체괼 때 변경된 캐시 블록의 데이터를 main memory에 전송하는 정책, 또는 cache miss가 났을 때 main memory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