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UDA
- Pyverilog 튜토리얼
- 데이터 해저드
- Pyvrilog tutorial
- linux c++ 컴파일
- 이진수 곱셈 알고리즘
- DNN Accelerator
- makefile
- gpgpu-sim
- DNN 가속기
- 클럭 게이팅
- 딥러닝 가속기
- Pyverilog 실행
- Design DNN Accelerator
- Makefile compile
- systolic array
- Pyverilog 설치
- gcc 컴파일
- pygraphviz 설치 오류
- CLOCK GATING
- Data HAzard
- pytest-pythonpath 설치 오류
- CDC
- linux c 컴파일
- 대구 반도체 설계기업 특화
- linux makefile 작성
- pyverilog 설치 오류
- 남산업힐
- AMBA
- 컨벌루션 연산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27)
오늘은 맑음
multicycle-path기법을 이용하면 pipeline으로는 더이상 쪼갤 수 없는 동작도 더 빠른 동작 주파수로 동작시킬 수 있다... 앞으로 더 공부해 봐야겠다. https://www.xilinx.com/video/hardware/timing-exception-multicycle-path-constraints.htm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LjDo/btquOpcvwwN/5KUgG7E0pnVxoXV1sKSPj1/img.png)
low power processor설계 기법중 하나로 Clock Gating이 있다. 사용하지 않는 모듈의 입력으로 들어가는 CLK을 Gate처럼 사용하여 enable/disable 시키는 기법인 것 같다. 사용하지 않는 모듈에 지속적으로 CLK이 공급되면 동작이 필요없는 상황에서도 전력을 소모하므로 CLK의 공급을 차단해줌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낮추겠다는 의도 같다. 위의 이미지는 Clock Gating을 설명한 그림이다. CG라는 gate가 CLK과 EN을 입력으로 받아 module로 CLK을 전달해준다. 만약 EN이 0이라면 CLK은 지속적으로 0이 전달되어 동작을 하지 못 할 것이다. 이 내용은 추후에 공부를 더 해 보완 해야겠다. 일반적으로 clock을 갖고 놀지 말아라, clock을 가공하지 말..
수학에서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가 나오는데 이상, 이하, 미만, 초과를 나타낼 때도 괄호를 사용한다. 필자는 알고리즘을 설명하면서 pseudo code를 표현할 때 범위를 나타내는 곳에서 주로 봤다. 소괄호 ( ) : 초과, 미만 대괄호 [ ] : 이상, 이하 (0, 1] 이라고 표현되어 있으면, 0 초과 1 이하를 의미한다.
엠티비 클릿을 사용하는 클릿과 페달, 신발을 저번주에 사서 적응중이다. 보통 클릿을 처음 사용하면 좌3 우3이라고들 하던데, 이 말은 좌로 3번 우로 3번 자빠지면 적응된다는 말이다. 첫 날에 양쪽으로 한번, 어제 서있다가 우로 한번 자빠졌으니 3번 남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L2OW/btquy2arq05/apLmBKFzMATfNDo46avgwK/img.jpg)
일요일에는 비가 오고 강풍이 동반한다고 했지만 목적지는 고척돔이였기 때문에 걱정이 없었다. 올 해 첫 직관이였는데 마침 히어로즈전 2연패, 현재 4연패중이여서 살짝 불안했다. 최근 부상으로 인한 전력 이탈과 선발 부진으로 부쩍 힘들어 보이던데... 오늘 선발은 그래도 저번주에 호투를 보여준 장민재선수였다. 버건디를 예약하고 싶었지만 순식간에 사라져 다크버건디석으로 예매를 했다. 버건디보다 더 내야쪽으로 들어와있어 야구보기에는 정말 좋았다. 사실 버건디에 앉아서 응원을 하고싶긴 했지만 잘보여서 만족스러웠다. 1, 2회부터 점수를 내길래 오늘은 순탄하겠구나 했지만 이승호 선수의 호투로 꽉 막혀버렸다... 장민재선수도 오늘 잘해줬지만 오늘 10k나 잡으며 120구정도 던진 이승호선수는 어마어마했다... 그래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yUc4/btquw3nn5vo/NknIO2PFpUO4z6CKLOfHCk/img.png)
vector 이차원 배열의 column, 즉 열칸을 자유롭게 사용하고 싶어 알아보다가 이중벡터를 알게 되었습니다. 만약 처음에는 2*2의 이차원 배열을 사용하다가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3*2의 배열이 필요하게 된다면... 어렵진 않지만 조금 귀찮죠? 그래서 vector를 사용하여 조금 더 편리하게 사용 해 보았습니다. 먼저 이차원 벡터를 선언해줍니다. vector Vec2D; 다음에는 벡터에 넣을 벡터를 선언해줍니다. vector vec1; vector vec2; vec1에는 0과 1을 넣어 줄 것이고 vec2에는 0부터 4까지 숫자를 넣어주겠습니다. vec1.push_back(0); vec1.push_back(1); for (int i = 0; i